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서울시 치수대책 ‘구멍’ … ‘무방비 서울’

<1면 및 주요기사>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소식이 오늘 조간들을 뒤덮고 있다. 조선일보는 서울 서초구 우면산의 처참한 모습을 1면 사진에 담았고, 경향신문과 동아일보, 세계일보는 흙무덤으로 변한 서울 남부순환도로를 1면에 실었다. 국민일보와 서울신문, 한겨레와 한국일보는 물에 잠긴 서울 강남구 대치역 사거리를 주목했다.

제목도 다양하다. <물바다에 산사태까지 … ‘무방비 서울’>(한겨레) <서울이 잠겼다>(한국일보) <서울을 할퀴다>(조선일보) <우면산의 재앙>(중앙일보) <500mm 테러>(경향신문) <강남이 잠겼다>(국민일보) 등이다.

- 한겨레 2면. 강남 ‘물바다’, 빌딩 늘며 하수관 과부하 가능성

강북보다는 강남 지역에 더 많은 폭우가 쏟아지면서 침수 피해가 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폭우 탓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고 지적. 하수관로가 막혔거나 빗물을 하수관로로 유인하는 빗물받이가 부족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전문가들은 “길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돼 있어 비가 내리면 물이 갈 수 있는 길은 하수구밖에 없다”며 “기상이변으로 인한 폭우에 대비해 빗물을 임시저장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저류시설 설치가 필요하다”고 강조.

- 한겨레 2면. 서울시 치수대책 ‘구멍’

서울시의 치수관리 능력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특히 지난해 추석 연휴 때 폭우로 침수됐던 광화문 광장이 이번에 또다시 물바다로 변하자, 서울시가 제대로 대비를 하지 않아 발생한 ‘인재’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해 추석 연휴 수해 직후 전문가들이 서울시내 하수관의 구조적 문제와 빗물저류조 등의 물관리 시설 부족을 지적했지만,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서울시는 일상적인 하수관 관리를 위한 예산마저 충분히 책정하지 않아, 일선 구청에서는 수해 발생 때 응급복구 등을 위해 적립하도록 한 재난관리기금까지 끌어다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동아일보 5면. 경기 강원 농가 큰 피해…“채소값 폭등하나” 추석물가 비상

이번 폭우로 경기 강원 일대의 농가 중 상당수가 피해를 봤다. 이번 비로 당분간 채소류 화훼류의 가격 급등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군다나 올해는 추석마저 예년보다 열흘이나 빨라 벌써부터 명절 물가가 심상치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제수 과일인 사과 배의 경우 이미 개당 평균 가격이 작년 추석 때의 가격을 최고 50% 이상 훌쩍 넘어섰다.

- 경향신문 9면. 유명 다국적기업의 냉혹함

지난 2일 새벽 경기 일산 이마트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다 숨진 황승원씨(22)는 아직 병원 영안실에 남아 있다. 사고가 난 지 25일째다. 함께 사고를 당한 3명은 모두 장례를 마쳤다. 황씨 가족들은 사고의 원인이 된 설비 제작사 트레인코리아 측과 3차례나 만났다. 사고 책임과 수습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황씨 유족과 트레인 측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장례절차가 진행될 수 없는 상태다. 트레인은 냉난방 설비를 전문으로 하는 세계적인 기업. 미국에 본사를 두고 전 세계 125국에 진출.

- 조선일보 1면. 삼성전자 전격 세무조사

국세청이 삼성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에 대해 전격적으로 세무조사에 착수. 서울지방국세청은 지난 26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본사에 조사1국 직원 30여명을 투입해 세무조사를 시작. 삼성은 통상 4년 주기로 이뤄지는 정기 조사일 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대기업 조사를 전담하는 서울국세청 조사 1국의 정예 조사요원들이 투입됐다는 점에서 특별 세무조사에 버금가는 고강도 조사가 예상. 국세청은 기업 자금을 해외로 빼돌렸는지, 비자금 조성 여부를 점검할 계획. 

- 한국일보 8면. 박재완 ‘8-5 근무제’ 추진에 역풍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공공부문 근로시간을 오전 8시~오후 5시로 한 시간 앞당기는 ‘8ㆍ5 근무제’를 밀어붙이려는데 대해 공직 사회 내부의 반발이 거세다. 박 장관은 “나라도 솔선수범하겠다”며 8ㆍ5 근무제 강행 의지를 불태웠다. 공무원들의 시각은 대체로 시큰둥하다. ‘출근만 일찍 하게 될 것’이라는 현실적인 우려 탓이다. 공무원들은 “예전부터 시행 중인 유연근무제도 잘 안 지켜지는 게 현실인데, 8ㆍ5 근무제를 도입해봐야 내수 진작은커녕 근무시간만 늘릴 것”이라며 혹평.

<주목 기사>

- 경향신문 13면. ‘독도 소동’ 수혜자는 한일 우파

손제민 정치부 기자의 기자수첩을 주목. ‘독도 소동’ 수혜자는 한일 우파라는 점을 강조. 손 기자는 이번 소동을 누가 키우고 있는 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자민당 내 비주류 의원 등은 한국 내에서 소동이 일어나 대통령까지 반응함으로써 분쟁지역 이미지를 부각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다른 승자는 처음부터 강경론을 쏟아내 이번 일을 한·일관계 위기로 키워온 정부·한나라당의 강경파와 우파 시민단체들이다. 그 선봉에는 이재오 특임장관과 홍준표 대표가 서 있다. 이 기사를 주목한 이유. 손 기자의 지적처럼 잊혀질 만하면 한·일 우파들의 ‘놀이터’로 내몰리는 독도가 안쓰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