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국정원 '언론플레이'에 놀아난(?) 한국 언론

어제에 이어 오늘 조간의 키워드 역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다. 그런데 사망원인을 두고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원세훈 원장은 20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정일 전용 열차가 평양 룡성역에 서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김 위원장이 어디에 가려고 (열차에) 탄 상태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달리는 열차 안에서 서거했다’는 북한 매체의 발표와는 다른 것이어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오늘(21일) 많은 조간들도 원세훈 국정원장이 발언한 내용을 주요 기사로 보도하고 있다. 조간들 1면 주요 기사 제목은 다음과 같다. 

<“김정일 사망 일시․장소 못믿겠다”>(국민일보 1면) 
<김정일, 열차에서 숨진 것 맞나>(동아일보 1면) 
<김정일 열차, 사망 시각 용성역 정차 중>(중앙일보 1면) 
<“평양 룡성역에 대기 중인 열차서 숨진 듯”> (한국일보 1면)

하지만 국정원의 ‘언론플레이’에 조간들이 이용당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국정원의 대북 정보력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국정원장 사퇴 요구가 거세지자 이를 잠재우기 위해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흘리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국회 정보위 민주당 간사인 최재성 의원은 20일 “원세훈 원장이 정보위 보고를 시작하면서 이런 취지의 얘기를 한 바 있다”며 “이에 대해 위성사진 등 ‘증거를 가지고 이야기하라. 북한 발표를 의도적으로 왜곡하려는 것 아니냐’고 따진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성 의원은 “국정원이 김정일 위원장 사망 사실을 북한 발표 이후에야 알게 된 것을 덮으려고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흘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오늘(21일) 한겨레(1면) 또한 이 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국정원장이 김정일 사망 장소 논란을 키웠다고 비판하고 있다. 한겨레는 정부의 다른 당국자 말을 인용, “김 위원장을 태운 열차가 김 위원장 사망 전 평양으로 돌아오기 위해 출발한 곳은 함흥인 것으로 안다”며 “김 위원장이 평양 부근에 다 와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1면) 역시 “김정일 위원장이 탄 열차가 이동했는지 여부를 놓고 국정원과 군 정보기관이 엇갈리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 국정원의 대북 정보력 빈약이 계속 문제가 되는 것 같다

조선일보(8면)는 “북한이 방송을 통해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을 발표하기 20분 전, 국회  권영세 정보위원장이 ‘김정일 위원장이 죽었느냐’고 물으니까 국정원 고위관계자가 세 가지 근거 대며 ‘아니다’라고 부인했다”고 보도. 많은 조간들이 국정원도 국방부도 “방송을 보고 김 위원장 사망 사실을 알았다”고 보도. 여야 의원들은 한 목소리로 원세훈 국정원장 사퇴를 요구. 

● 그런데 중국은 김정일 위원장 사망 당일 이 내용을 알았다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당일인 17일 류훙차이(劉洪才·56) 주북한 중국대사의 첩보 보고를 통해 중국은 김 위원장의 유고 상황을 파악. 중국 정부는 또 발표 하루 전인 18일 북·중 외교채널을 통해 북한으로부터 김 위원장 사망 사실을 공식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일보(1면) 보도.

● 그런데 이명박 대통령은 후진타오와 이틀째 전화가 불통이라고.  

이명박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주변 4강 정상들 중 유일하게 중국 후진타오 주석과 전화 통화를 하지 못한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후 주석은 20일 오전 주중 북한 공관을 방문해 김 위원장의 사망에 조의를 표한 것으로 밝혀져 우리 정부의 대중 외교력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일보 2면 보도. 

● 정부가 ‘담화문’을 발표했지. 공식적으로 조의라는 표현은 쓰지 않았네. 

정부가 김정일 위원장 사망에 대해 조의를 표명하기로 했다. 정부 차원의 조문단은 보내지 않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씨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방북을 허용하기로 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조의’란 표현을 쓰지 않고 북한 주민들을 위로하는 형식으로 우회적인 조의를 표시한 것으로 풀이. 하지만 일부 조간들은 사실상 정부 차원의 조의로 해석. 조선일보(1면)는 ‘정부의 대북 첫 조의’라고 평가. 

● 그런데 검찰과 경찰이 “온오프라인 분향소 단속”을 하기로 했다고.  

검찰과 경찰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 대한 일반인들의 조의 표명을 원칙적으로 불허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사실상 조의 표명을 한 데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고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 유족의 방북 조문을 허용한 것과 배치돼 논란. 오프라인 분향소는 물론, 인터넷 카페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사이버 분향소 설치도 단속 대상이 될 전망. 한국일보 5면 보도. 

● 경향신문과 동아일보가 평양 주재 영국 대사와 인터뷰를 가졌네. 

평양에 주재하는 영국대사관 1등서기관 바나비 존스(26)가 “평양은 어떠한 동요 움직임도 없이 일상적 삶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존스는 “조문객들의 행렬이 무리를 지어 각 분향소마다 이어지고 있지만 평양의 교통량도 평소와 다름이 없고, 사람들도 일상적인 삶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 이상득 의원 보좌관이 5~6개 거액의 차명계좌를 가지고 있었다고. 

검찰이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76)의 박배수 보좌관(45·구속) 계좌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출처불명 자금 수억원이 입금된 차명계좌 5~6개를 발견. 자금 출처와 사용처를 추적. 검찰은 문제의 계좌에 계좌당 수천만 원부터 수억 원까지 입금된 사실을 파악. 이 중 일부 계좌는 코오롱 직원 명의인 것으로 확인. 검찰은 박 보좌관이 코오롱 출신 선배 부인의 차명 전화를 사용해 120여 차례 통화한 사실도 밝혀냈다. 이상득 의원과 박배수 보좌관은 모두 코오롱 출신. 경향신문 20면 보도. 

● 다음 소식은.
 

저축은행비리합동수사단(단장 권익환 부장검사)이 유동천(71ㆍ구속기소) 제일저축은행 회장이 국세청 현직 고위 간부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 합수단은 유 회장이 국세청의 주요 보직을 거친 A씨를 평소 관리했을 것으로 의심하고 세무조사 무마 등을 위해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합수단은 조만간 A씨를 소환 조사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일보 19면 보도. 

● 구제역 매몰지 가운데 71곳에서 침출수 샜다고?   

취약한 구제역 가축 매몰지 300곳 가운데 71곳(23.6%)에서 침출수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전국의 가축 매몰지 4799곳 가운데 유출 의혹이 제기된 곳, 대규모 또는 하천 인근 등 취약한 매몰지 300곳의 5m 이내에 관측정을 설치해 1년간 분기별로 조사한 결과. 하지만 조사대상 300곳을 제외한 매몰지는 관측정 설치가 적절하게 이뤄졌는지 의문이 제기. 정부가 공식적으로 ‘침출수 유출’이 아닌 ‘유출가능성’이라고 고집해 비난을 샀다. 국민일보(14면)와 한국일보(20면)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