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검찰, 이상득 의원 아들 소환

<단독 보도>

- 한겨레 1면. 인체유해 방사성 물질 검사 때 스트론튬․플로토늄 측정 안해

국내 방사능측정소에서는, 최근 검출된 요오드․세슘 이외에 스트론튬과 플로토늄 등 다른 방사성 물질에 대한 검사가 아예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핵분열 생성물 가운데 40여종은 인체를 해를 입히고 있는데 정부는 요오드와 세슘, 제논 3가지만 검사. 특히 스트론튬은 골수암 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다.

- 한국일보 14면. 검찰, 이상득 의원 아들 소환

한상률 전 국세청장의 유임 로비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이명박 대통령의 조카이자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의 아들인 이지형(45) 전 골드만삭스 자산운용 대표를 소환 조사.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2008년 초 안원구(51ㆍ수감 중) 전 국세청 국장과 이 의원의 만남을 주선했는지 여부를 물었다고.  이씨는 그러나 검찰 조사에서 자신이 안 씨를 이 의원에게 소개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1면 및 주요기사>

오늘 조간 1면은 CBS노컷뉴스부터 거의 모든 조간들이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논란과 일본 교과서 왜곡 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루고 있다. 한국일보 1면 제목이 눈길을 끈다. <말 뒤집은 신공항> <속 뒤집힌 독도>.

- 동아일보 1면. “내년 총선 현의원 안 찍겠다” 48%

동아일보는 창간 91주년(4월 1일)을 맞아 코리아리서치(KRC)에 의뢰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여론조사를 했다. 내년 4월 실시될 19대 총선에서 ‘현재 살고 있는 지역구의 현역 의원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27.7%에 그쳤고 ‘다른 인물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48.0%로 절반에 육박했다. 18대 국회의원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물갈이 욕구가 크다는 얘기.

- 조선일보 1면. 미, 북한에 식량사정 조사단 파견 추진

미국이 대북 식량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조사단을 북한에 파견, 직접 북한의 정확한 식량 사정을 실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미국이 ‘식량 지원 절차 논의’가 아닌 ‘식량 지원 여부 판단’을 위해 정부 관리들을 북한에 보내는 것은 처음이다. 미국은 당초 세계식량계획(WFP)의 조사를 토대로 식량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었지만 최근 ‘WFP의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 경향신문 10면. 한상률에 인허가 뒷돈, 검찰 주류업체로 수사 확대

검찰이 한상률 전 국세청장이 청장 재직 시절 주류업체에 인·허가를 내주는 대가로 거액의 뒷돈을 받은 정황을 포착. 검찰은 주류업체 ㄷ사가 2008년 2월 주류 수입면허를 재발급 받는 과정에서 한 전 청장에게 뒷돈을 건넨 단서를 포착했다. 검찰은 ㄷ사에 대한 인·허가 과정에 한 전 청장뿐 아니라 다른 국세청 간부들이 관여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어 수사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또 한 전 청장이 퇴임 후 미국에서 23개월간 머물면서 자문료를 받은 기업 가운데 주정업체 5곳이 포함된 사실을 확인. 소주 등의 원료를 제조·유통하는 주정업체에는 국세청 출신들이 다수 포진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동아일보 16면. 정동영 의원실 때아닌 ‘전화 폭탄’

민주당 정동영 의원실은 지난달 7∼9일 200여 통의 ‘전화 폭탄’을 맞았다. 모두 생뚱맞게도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주는 것이 사실이냐’고 묻는 문의 전화였다. 전화를 걸어온 사람들은 모두 발신번호 ‘02-784-○○○○’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았다고.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전혀 관계없는 국회의원 사무실임을 설명하느라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었다고. 결국 의원실은 사기 조직에 번호 도용된 것으로 보고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 중앙일보 12면. 고정애 기자 ‘취재일기’

고등훈련기 T-50의 인도네시아 수출이 성사된다는 소식이 청와대발(發)로 알려졌다. 하루 만에 청와대의 공식 반응은 달라졌다. “인도네시아가 우선협상대상국으로 우리를 선정한 상태가 아니다”(김희정 대변인)라고 손을 저었다. 발언을 한 당사자인 외교안보라인 참모도 “아직 확정된 게 아니다”고 발을 뺐다. 이유는? 우려했던 부분이 현실화 되고 있기 때문.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더라도 본계약까지는 난관이 많다. 실제 이미 인도네시아 정부는 “상당히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내왔다고 한다. 청와대 안보라인의 입이 너무 가벼운 것 같다.

<주목 기사>

- 경향신문 11면. 다양한 1등이 모였다. 누구도 행복하지 않았다

잇단 자살 소식에 술렁이는 카이스트를 주목. 카이스트는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뽑았다고 자랑하면서도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특히 지난 2007년 도입된 KAIST의 이른바 ‘징벌성 장학금’ 제도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이 제도는 평점 3.0(만점 4.3)에서 0.01점 낮아질 때마다 약 6만원(2010년 기준)을 다음 학기 시작 전까지 지불해야 한다. 학기당 최대 750만원가량을 징수할 수 있다.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