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농식품부 ‘4대강 우기 대책’은 언론대책

<1면 및 주요기사>

건설현장식당 비리에 연루돼 검찰 수사를 받던 임상규 순천대 총장이 자살한 소식.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대표가 이달 중 ‘민생회담’을 가진다는 소식 등이 주요기사로 실려 있다. 조중동은 “등록금, 차분히 해법 찾자”는 이명박 대통령을 발언을 1면에 주요하게 싣고 있어 눈길.

경향신문은 르몽드가 ‘어린 소년·소녀를 상품화하고, 정부는 그 상품화한 이미지를 한류라는 이름으로 수출하고 있다’고 K-POP을 비판한 내용을 1면에 실었다. 경향은 지난 12일 발생한 화재로 폐허가 된 서울 강남구 개포4동 판자촌의 모습을 1면 사진에 담았는데 기사 제목이 <불탄 판자촌 ‘강남의 그늘’>이다.

- 조선일보 1면. “돈 봉투 들고 온 사람 있었다” 답한 시장․군수는 20%

조선일보가 전국의 기초자치단체장(228명)을 전수 조사한 결과, 응답한 167명 중 33명(19.7%)이 “돈봉투를 들고 찾아오는 사람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들 33명 단체장들은 대부분 “봉투를 돌려줬다”, “정중히 돌려보냈다”고 밝혔고, 일부는 “장학금으로 돌렸다”고 응답했다. 집무실 벽을 아예 유리로 바꾼 기초자치단체장도 여럿이었다. 상당수의 기초단체장들은 "받으려고 맘먹으면 CCTV가 100개 있어도 받을 수 있는 것 아니냐"며 "CCTV 설치는 쇼"라는 반응을 보였다.

- 국민일보 1면. “고위공직자 부패, 작년에 가장 심각”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행정연구원이 지난해 전국(제주도 제외)의 기업인 600명과 자영업자 40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해 보고서. 이명박 정부 3년차인 지난해에 고위 공직자들의 부패 정도가 2000년 이후 가장 심각해졌다는 답변. 공직 가운데 부패가 가장 심한 분야로는 법조가 꼽혔다.

- 한겨레 3면. 법제처 간부, 정선태 처장 면전서 ‘용퇴’ 직격탄

사건 청탁의 대가로 검사 시절 1000만원을 받은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 대상에 올라 있는 정선태 법제처장에게 13일 법제처의 한 간부가 공식회의 자리에서 퇴진을 요구했다. 이 간부는 “언론 보도가 잘못된 것이라면 전 직원들에게 떳떳하다고 밝혀 지휘권을 확립하든가 아니면 깨끗이 사퇴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선태 처장은 “14일 국회 법사위에서 국회의원들이 질문을 하면 내 입장을 밝히겠다”고 답했다고.  

- 중앙일보 1면. 대학 간판 유지하려, 돈으로 신입생 샀다

중앙일보가 ‘경영 부실 대학 실태 보고서’를 단독입수.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대학선진화위원회가 2009년 말 작성한 것. 학교 경영 상태가 극도로 악화돼 최악의 경우 학교 문을 닫을 수 있는 대학이 전국에 13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일반대 5곳과 전문대(2~3년제) 8곳이다. 이들 대학은 수입의 대부분을 등록금에 의존(의존율 평균 88%)하고 있었고, 정원 대비 재학생 충원율이 59.7%에 그쳤다.

- 한겨레 5면. 사립대 국고지원금 9316억중 10곳에 4531억 쏠려

2007~2009년 2년 사이 사립대에 대한 국고 지원 규모가 40%나 늘었지만, 이 가운데 절반가량은 상위 10개 대학에 집중. 9316억중 10곳에 4531억 쏠렸다. 서울의 주요 사립대가 7곳이나 포함. 115개 대학이 나머지 지원금 나눠서 받아갔다.

- 한국일보 8면. 한국의학연구소, 무자격 의료기사에 건강검진 맡겼다

경찰이 국내 최대 규모의 건강검진 전문기관인 한국의학연구소(KMI)가 무자격 의료기사에게 검진을 맡겼다는 정황을 포착, 수사에 착수했다. KMI는 복부초음파, 골반초음파, 갑상선초음파 등 영상의학과 항목 검진의 대다수를 의사 자격이 없는 의료기사에게 맡겼다. 비용 절감을 노리고 불법을 저지른 것으로 보고 있다.

- 중앙일보 1면. “3000만원 쇼핑백 서갑원에게 줬다”

대검 중수부는 최근 김양(58·구속기소) 부산저축은행 부회장에게서 “2008년 10월 전남 순천시에서 서 전 의원에게 3000만원을 줬다”는 진술을 받았다. 검찰은 조만간 서 전 의원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서 전 의원은 “김 부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사실이 없다”며 “(검찰에) 나를 그만 좀 괴롭히라고 전해달라”고 말했다.

<주목 기사>

- 경향신문 13면. 농식품부 ‘4대강 우기 대책’은 언론대책

농림수산식품부가 4대강 우기 재해 방지대책을 내놓았다. 문제가 있다. 사실상 ‘대언론 대응책’으로 채워졌기 때문. ‘지역언론의 우군화’를 위한 정례 브리핑·팸투어 추진, 4대강 홍보용 관변조직 구성 등이 주요 내용. 이 기사를 주목한 이유. ‘농식품부의 ’4대강 우기대책‘의 최우선순위는 언론 수습이고 실제 사고수습은 뒷전이라는 생각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