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후쿠시마 ‘귀없는 토끼’…방사능 공포는 끝나지 않았다

<1면 및 주요기사>

미국 경제의 ‘더블딥’(짧은 경기회복 뒤의 재침체) 공포와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가 번지면서 세계증시가 동반 폭락했다는 소식이 1면 주요기사로 실려 있다. 정부가 애플과 구글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정보 수집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 제재조치를 내린 소식도 많은 조간들이 1면에서 보도. 애플 등의 위치정보 수집행위를 정부가 제재한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이 3일 수도 카이로에서 열린 재판 첫날 법정에 출두한 모습이 조간들 1면 사진에 실려 있다. 흰색 수의 차림으로 병원 침대에 누운 채 법정에 마련된 철창 속에 모습을 드러냈다. 시위대에 대한 발포를 명령하거나 묵인해서 의도적인 살인을 했다는 혐의를 전면 부인. 

- 한겨레 1면. 후쿠시마 ‘귀없는 토끼’ … “기형 태어날 만큼 방사능 피폭”

지난 5월21일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후쿠시마 원전사고 뒤에 태어난 귀 없는 토끼’란 동영상이 올라 왔다. 이 동영상은 지금까지 235만 명 이상이 봤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북서쪽으로 30Km 떨어진 나미에마치 쓰시마의 한 농장에서 이 토끼는 태어났다. 일본 시민단체가 지난 7월 초 농장을 방문해 사육장 주변의 흙을 채취, 방사성 물질 함유량을 조사. 원전사고 초기 어미 토끼가 먹이를 통해 기형의 새끼를 낳을 만큼 심하게 방사능에 피폭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조선일보 1면. 생활하수 8일째 팔당상수원 유입

지난달 27일 중부지방에 쏟아진 폭우로 경기도 광주의 2개 하수처리장이 침수. 가동이 중단되면서 하루 3만8000t가량의 광주지역 생활하수가 팔당호로 8일째 유입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 상수원인 팔당호 수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한강유역환경청은 3일 팔당호 오염감시체계를 평시 수준에서 1단계로 격상.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당국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주장. 일부 환경단체는 정밀조사를 요구.

- 중앙일보 3면. “집값 떨어질라” … 특별재난지역이 불편한 서초구민

요즘 서초구민들의 마음이 편하지 않다.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둘러싼 논란 때문.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도로 같은 공공시설을 복구하는 비용의 75~90%를 중앙정부가 댄다. 일반 재난구역으로 지정됐을 때는 정부가 50%만 지원한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동네 이미지가 나빠지고 집값에도 영향을 준다고 걱정. 요즘 부동산 중개 사이트의 서초구 일부 아파트 매물 정보엔 ‘우면산 산사태와는 관련이 없는 아파트라는 설명이 올라 있다.

- 경향신문 10면. 용역들, 명동세입자 농성 ‘카페 마리’ 기습 점거

3일 오전 4시50분. 이주대책을 요구하는 세입자들이 농성 중인 서울 명동3구역 재개발지구 ‘카페 마리’에 ‘철거 용역’ 100여명이 들이닥쳤다. 이들은 상인과 시민들을 끌어내고 카페 마리를 점거했다. 배재훈 세입자대책위원장 등 6명이 기자회견을 열고 “새벽에 철거에 나선 것은 불법”이라며 “중구청이 ‘오는 5일 합의하자’고 해놓고는 하루 만에 용역이 움직이도록 놔뒀다”고 주장. 용역 직원들이 예고 없이 동원되자 트위터에는 시민들의 비난이 쇄도.

- 동아일보 4면. 민간외교단체 지원금 줄줄 샌다

민간외교단체 지원금이 유흥주점, 호텔사우나, 호텔바, 면세점 등 엉뚱한 곳에서 새고 있다. 두 사례만 언급. 민간외교단체인 한일신시대공동연구프로젝트는 외교통상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으로부터 한 해 2억 원 이상의 지원금을 받는다. 이 단체는 지난해 3월 6일 광주 서구의 한 술집에서 75만 원을 썼다. 또 한중공동연구프로젝트도 지난해 4월 중국 베이징으로 가는 여객기 기내 면세점에서 25만4000원을 주고 양주 3병과 초콜릿을 구입. 민간외교단체 대표들은 전직 장관, 전직 국회의원 등 저명인사들이 대부분. 유독 ‘거물’들이 많아 눈치를 보는 것 같다.

- 경향신문 1면. 한상대 검찰총장 후보자 비상장주 부당거래 의혹

한상대 검찰총장 후보자가 고교 동창이 운영하는 벤처회사의 비상장주식에 투자해 1500만원의 수익을 거둔 사실이 3일 확인. 주식 거래 과정에서 사실상 내부자 정보를 이용해 이득을 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 한 후보자는 국회가 보낸 서면질의서에 “비상장주식을 보유한 적 없다”고 답한 것으로 밝혀져 거짓말 논란도 일고 있다. 해당 벤처기업은 한 후보자 동창인 최모씨가 1990년 설립한 회사. 과학기기와 반도체 관련 장비의 무역업을 하고 있다. 한 후보자가 주식을 매입한 2000년 이후에는 정부로부터 다수의 특허를 인정받아 우수벤처기업으로 지정. 한 후보자 측은 “4일 국회 청문회에서 모두 해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목 기사>

- 한국일보 1면. 언론학자 64% “지상파 공영성 수준 낮다”

한국일보가 한국언론학회 소속 언론학자 42명을 대상으로 국내 방송 공영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열 명 중 여섯 명은 국내 주요 지상파 방송의 공영성 수준이 낮다고 평가. KBS기자의 민주당 도청 의혹 사건에 대한 KBS의 대처에 대해선 83.3%가 “부적절하다”고 비판. KBS, MBC가 공영방송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민영방송 SBS와 공영성 수준에서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많았다. 이 기사를 주목한 이유. 국내 방송의 공영성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에 있는 지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 정치적 중립성을 잃은 사장 임명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던 점이 특히 눈길을 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