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일본 원전 영웅들 “회사 지시 거절하면 곤란해진다”

<주목 기사>

- 한겨레 9면. ‘원전 사무라이’ 대부분은 단순 노무자

방사선 피폭 위험에도 불구하고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현장으로 들어간 도쿄전력과 하청업체 직원들 - 영웅으로 불리우고 있죠. 그런데 실상은 전혀 다르다고.

영국 ‘가디언’은 현장에 있는 사람들 500여명 대부분은 원전 정상화 작업을 감당하기엔 버거운 단순 노무자들이라고 지적. 그런데 이들이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자원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제가 이 기사를 주목한 이유. 한 직원은 일본 마이니치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에 거절하면 나중에 입장이 곤란해진다. 이 회사에서 계속 일을 하고 싶기 때문에 회사 지시에 가능한 한 따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단독 보도>

- 서울신문 1면. 국내 모바일 인터넷전화, 카카오톡 보안 다 뚫렸다

서울신문이 지난달 1일부터 한달 동안 국내 주요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 서비스 6개와 카카오톡 등 메신저 4개를 대상으로 무선랜 환경에서 도청 테스트를 한 결과 국내 기술로 개발된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는 모두 수·발신 대화 내용이 도청이 됐다고. 국내외 930만명의 가입자를 둔 카카오톡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입자 간 문자 채팅 내용을 볼 수 있었다고. 스마트폰 인터넷 통화나 문자 전송이 해킹에 무방비로 노출이 돼 있는 셈.

<1면 및 주요기사>

- 한겨레 1면. 국내 원전 10km 밖 ‘방사능 무방비’

한겨레가 원전 21기가 가동 중인 부산 기장군과 경북 경주시, 경북 울진군, 전남 영광군의 ‘방사능 방재계획’(원전 사고 대비 매뉴얼)을 확인. 비상상황 때 주민들의 대피를 예상한 ‘비상계획구역’은 원자로에서 반경 8~10㎞까지로만 설정돼 있다고. 이 구역을 벗어난 지역에선 아무런 조처가 취해지지 않는다는 얘기. 그나마 비상구역 안에서도 주민들이 쓸 수 있는 보호장비는 태부족이고, 대피소는 대부분 내진 설계가 돼 있지 않다고.

- 경향신문 1면. ‘대북 쌀 지원’ 시기만 남았다

정부가 ‘대북 쌀 지원’ 방침을 내부적으로 정한 것 같다. 북한의 식량상황에 대한 세계식량계획(WFP)의 현지조사 결과가 발표된 뒤 미국이 식량지원을 결정할 경우, 대북 식량지원을 하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그동안 정부는 북한의 천안함․연평도 사건 사과와 비핵화 의지 표명을 대북 쌀 지원의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어 계속 반대만 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듯. 직접 지원보다는 국제기구나 비정부기구를 통한 간접지원 방식이 될 듯.

- 동아일보 17면. 경기도의회 ‘스크린 골프’ 모임 추진 논란

경기도의회 의원들이 의회 경비를 지원받는 스크린골프 동호회 결성을 추진해 논란이 일고 있다. 도의원이 10명 이상 참가하는 동호회에는 1인당 연간 30만 원이 의회운영공통경비에서 지원되기 때문. 경기도의회 보건복지공보위원회 김광선(무소속), 손호성 의원(민주)은 스크린골프 동호회를 꾸리기로 하고, 참가 희망 의원을 모집했다. 아직 10명의 회원을 채우지 못했지만 회원모집 활동을 계속해 도의회 정식 동호회로 등록할 계획이라고. 스크린골프를 취미활동을 볼 수 있을지.

- 조선일보 6면. 안철수 “총리직 제안 ‘배달 사고’ 있었다”

안철수(49) 카이스트 석좌교수는 22일 ‘관훈포럼’ 강연회에서 “이명박 정부로부터 총리직 제안을 받았느냐”는 질문에 “청와대에서는 메시지를 (나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나는 전달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른바 ‘배달 사고’가 났다는 얘기. 안 교수는 “정부에서 뜻을 펴는 것이 어떠냐”는 질문에는 “정치는 잘 모르고 정치권으로 가는 건 인생의 낭비라고 생각하므로 안 하는 게 낫다”고 답변했다. 청와대 “확정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 경향신문 14면. 남편학대에 돈 훔쳐 집나간 필리핀 여성 무죄

남편의 학대를 견디지 못해 남편에게 수면제를 먹이고 현금 20여만원을 챙겨 달아난 필리핀 여성에게 법원이 무죄를 선고했다. 이 여성의 한국인 남편은 20살이 많다고. 이 필리핀 여성은 한국에 와서 여독을 풀기도 전에 “집 청소를 하라”며 드라이버로 위협을 당했다고. 남편은 끼니마다 밥 대신 라면과 초콜릿을 먹였다. 나이트클럽에 데려가 친구들 앞에서 “탁자 위에 올라가 춤을 추라”고 강요도 했다고. 법원은 “돈과 여권을 훔쳤지만 이는 학대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으로 강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

- 조선일보 1면. 고용부, 근로자 월급 털어 고용기금 메운다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가 실직자에게 지급할 고용보험기금을 호화 직업체험관 건립 등에 썼다는 소식. 지난번에 전해드린 적이 있다. 기금이 고갈될 위기에 처하자 보험료를 한꺼번에 22% 인상했다. 정부가 기금 운영에 실패해 발생한 부담을 봉급 생활자들에게 떠넘긴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