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손학규 대표 사의가 과연 '시민정치' 탓일까?

<1면 및 주요기사>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4일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는데 이 소식이 아침신문들의 주요 화두. 서울시장 후보 범야권 단일화 경선에서 민주당이 패배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 5일 열릴 의원총회에서 사퇴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

조간들의 제목들이 흥미롭다. 동아일보는 <‘시민후보’ 박원순 돌풍 첫 희생양은 손학규>라고 뽑았고, 한국일보는 <손학규까지 끌어내린 시민정치의 파워>라는 제목을 달았다. 서울신문의 1면 제목은 <시민정치, 야 대표를 베다>이다. 그런데 일부 신문의 제목을 보면서 생각이 든다. 손학규 대표 사의가 시민정치 탓일까. 조직력만 믿다가 '변화의 바람'을 읽지 못한 민주당 책임은 없는 걸까. 

- 동아일보 1면. 이국철 “신재민에게 법인카드 3장 줬다”

정권 실세들에게 금품과 향응을 제공했다고 폭로한 이국철 SLS그룹 회장이 신재민  전 문화부 차관에게 제공한 법인카드가 모두 3장이라고 밝혔다.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 회장은 3장 중 1장은 신 전 차관이 다른 정부 기관에 넘겨줘 이 기관의 직원들이 서로 돌려가며 사용했다고 주장. 이 회장은 “해당 기관이 어디인지 알고 있지만 지금은 밝힐 단계가 아니다”고 밝혔다. 검찰이 수사를 통해 밝혀야 사안들이 많은 것 같다.

- 조선일보 12면. 조중표 전 총리실장․가족 씨앤케이 26만주 받아 처분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이 아프리카 카메룬에서 다이아몬드 탐사 개발권을 따낸 업체 씨앤케이로부터 본인과 부인, 자녀 명의로 26만여주에 해당하는 신주인수권을 받았다. 신주인수권은 일정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 중간 과정과 매수자를 파악하기 어려워 기업들이 비자금 조성과 정·관계 로비에 활용. 조 전 실장의 아들과 딸이 각각 3만7527주씩 씨앤케이 신주인수권을 행사(주식으로 전환)한 시점도 의혹. 지난해 12월 8일로 외교부가 ‘씨앤케이 다이아몬드 개발권 획득’ 보도자료를 배포(12월 17일)하기 9일 전. 조 전 실장과 가족은 현재 주식을 모두 처분. 10억원 이상 매각 차익을 얻었을 것으로 추산.

- 한국일보 1면. 옛 방송위 간부, 차명계좌로 억대 수뢰 의혹

방송통신위원회의 전신인 방송위원회 전직 사무총장이 거액의 뇌물을 받은 혐의가 포착돼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이중희)는 방송 관련 업체로부터 억대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김구동 전 방송위원회 사무총장을 최근 소환 조사. 검찰은 김 전 사무총장이 재직 시절 편의제공 대가로 차명계좌를 이용해 관련 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정황을 포착. 김 전 총장은 혐의를 부인.

- 세계일보 1면. 음주운전 걸리고도 승진하는 공무원

4일 국회 행정안전위 소속 유정현 의원(한나라당)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05∼2010년 음주운전 적발시 신분을 은폐한 16개 시·도 공무원은 1만1507명에 이르렀다. 행안부 소속 공무원도 32명. 한 지방공무원은 상습음주운전으로 면허취소(4번)와 면허정지(1번)를 당했다. 그런데도 지난해 다시 음주운전을 하고 신분을 속였다가 들통나 중징계를 당하게 됐다. 행안부는 오는 12월부터 음주운전 3회 이상은 해임이나 파면을 할 계획.

- 조선일보 1면. “스파이 도청 대비하라” 국정원 지시, 아무도 안들었다

국가정보원이 작년 7월 정부 전 부처에 다른 나라 정보기관과 기업체 등의 도청에 대비, 최신형 도청 탐지 장비를 설치하라고 지시. 단 1곳도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중앙 부처와 국가기관 중 관련 예산 확보 등 준비에 나선 곳은 행안부·경찰청 2곳에 불과. 국회는 곧 설치작업에 들어갈 예정. 35개 중앙 부처(15부2처18청) 중 나머지 33곳은 아직 설치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

- 경향신문 1면. 은마아파트에서 생긴 일

서울 대치동 일대가 폭우로 침수된 지난 7월27일 아침 은마아파트 2동 청소노동자 김정자씨(64)가 아파트 지하실에서 숨진 채 발견. 동료들은 “지하실의 물을 빼내려다 감전사했을 것”이라고 했지만, 관리소장이나 용역회사는 “책임이 없다”는 입장. 김 씨가 사망한 지 70일이 넘었지만 유족들은 아직 부검 결과조차 받아보지 못했다. 수서경찰서에 정보공개를 청구. 담당경찰관은 정보공개 청구대상이 아니라며 공개를 거부. 용역업체와 관리소장 조모씨는 “법대로 하면 될 일”이라는 입장. 은마아파트 입주자대표회는 8월 말 회의를 열고 김씨 유가족에게 위로금을 주지 않기로 결정.

<주목 기사>

- 한겨레 18면. 우리금융 40만원짜리 볼펜 선물, 왜?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금융그룹이 기획재정부와 예금보험공사 등 고위직들에게 시가 40만원대의 몽블랑 볼펜을 돌렸다. 14케이(K) 금도금으로 장식된 이 볼펜은 독일제. 영국 금융전문지 <뱅커>가 선정하는 세계 1000대 은행에 우리금융이 72위에 오른 것을 홍보하는 차원이었다고. 이 기사를 주목한 이유. 예보는 우리금융을 직접 관리·감독하는 상급 기관. 고가의 선물은 부적절. 일부 고위 공직자들은 되돌려 보냈다. 홍보를 하려면 고객과 국민에게 해야 하는 것 아닌지. 그리고 고위직들에게 고가의 선물하는 것보다 고객과 국민들 신뢰 얻을 생각을 좀 먼저 했으면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