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흔적/핫이슈

청와대 지시 따르는 언론들

6월13일이 ‘검찰 사망의 날’이었다면 6월15일은 ‘언론 사망의 날’로 기록될 것 같다.

청와대가 검찰의 불법사찰 수사결과 발표 직전 일부 언론사에 연락해 “노무현 정부의 민간인 사찰 사례도 나올 테니 균형 있게 다뤄달라”고 부탁했다는 이른바 ‘물타기 시도’에 대해 대다수 언론이 ‘그런 일 없다’는 듯 침묵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검찰․법무부만 한통속? 언론도 한통속!

‘청와대 물타기 시도’에 대한 언론의 침묵을 심각하게 봐야 하는 이유가 있다. 한겨레가 오늘자(15일) 사설에서 지적한 것처럼 “기업 홍보하듯 물타기에 나선 청와대”가 “이번 사건에 대해 진심으로 반성하는 기색이 없”기 때문이다.

“송구하다. 다시는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두 줄짜리 서면 논평이 전부다. 국정 최고책임자이면서 ‘민간인 사찰 파문’과 관련해 몸통으로 의심받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도 이번 수사결과 발표 이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한마디로 정권 차원의 전방위적인 불법 사찰에 대해 ‘나 몰라라’ 하고 있다는 얘기다.

야당과 시민사회가 반발하고,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비판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 청와대와 이명박 대통령만 ‘딴 짓’을 하고 있다. 오늘자(16일) 경향신문 1면에 따르면 검찰 내부에서도 이번 수사결과에 대한 비판여론이 제기되면서 진실규명을 요구하고 있을 정도다. ‘불법사찰 수사’에 대한 전 사회적 반발이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조중동> ‘어제(14일) 그 정도 비판했으면 됐지 뭘 …’

그런데 이런 사회적 반발여론이 반영되지 않는 무풍지대가 바로 언론이다. 지난 14일자에서 검찰의 부실수사를 질타했던 조중동은 그 정도면 할 일 다했다고 생각한 건지, 오늘자(15일)에선 ‘불법 사찰’ 문제가 한국 사회에서 사라진 듯한 지면 편집을 선보였다.

민주당 검찰 수사 규탄집회를 한 구석에 사진으로 걸쳐 놓거나(조선일보 6면), <“권재진 해임, 원 구성뒤 논의”>라는 제목의 단신기사(중앙일보 10면 1단)를 내보낸 정도다. 조중동 가운데 이 사안을 가장 비중 있게 보도한 동아일보 기사 제목은 <새누리 “국정조사까지 검토” … 민주, 권재진 해임안 제출>(4면)이다. 후속보도라기보다는 새누리당의 ‘해결의지’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제목과 편집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방송3사의 보도태도도 조중동과 별반 다르지 않다. 6월14일 KBS MBC SBS 등 방송3사 메인뉴스의 화두는 ‘검찰이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의 사무실을 압수수색 했다’는 내용이었다. 방송3사의 이날 ‘불법사찰 관련 리포트’는 여야 정치권의 반응을 전달하는 수준(KBS, SBS)이거나 검찰 내부의 반응(MBC)을 덧붙이는 정도에 그쳤다.

‘청와대 물타기 의혹’ 비판도 없고 반성도 없는 언론

한마디로 반성은커녕‘물타기 의혹’을 시도한 청와대에 비판도 없고, 청와대의 전화를 받은 언론사들의 자성도 없다는 얘기다.

적어도 언론이라면, 아니 언론에 종사하고 있는 기자라면 “언론사에 전화한 청와대 관계자들이 과거 정부의 불법사찰 사례가 수사발표에 포함된다는 ‘고급 정보’를 어디서 들었는지”(한겨레 15일자 사설)를 따져봐야 한다. 또한 “법무부와 대검이 수사결과 발표를 청와대와 사전 조율한 것은”(경향신문 15일자 사설) 아닌지에 대해서도 후속보도와 심층취재가 따라줘야 한다.

MB정부의 불법적이고 무차별적인 민간인 사찰과 참여정부 시절 총리실의 합법적인 공무원 직무감찰이 어떻게 다른 지 설명하는 건 기대하지도 않지만 ‘뻔뻔한 청와대’의 행태마저 대다수 언론이 침묵으로 일관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 언론이 오히려 청와대와 검찰, 법무부와 한통속이 되어 ‘불법사찰 수사’에 대한 반발 여론을 무마하고 있는 양상이다.

경향신문과 한겨레 등에 따르면 “회사에서 ‘청와대 부탁이 있으니 참여정부 사례도 잘 챙겨보라’”는 지시를 받은 기자도 있었고, “정치부장이나 국장, 사장급에서 (청와대) 연락을 받은 것으로 안다”고 언급한 기자도 있었다. 기자 개인이 관련 내용을 직접 공개하기 어렵다면 적어도 해당 언론사 노조라도 나서서 ‘청와대와 언론사 고위간부들간의 협조관계’가 없었는지를 따져야 한다. ‘청와대 물타기’와 언론의 침묵 카르텔을 언론 스스로 깨지 못하면 ‘언론개혁’은 결국 언론 외부에서 진행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