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흔들리는 '분당우파'가 걱정인 중앙일보

<단독 보도>

- 조선일보 8면. 여야 모두 해외에 ‘편법 선거조직’ 만들었다

조선일보가 한나라당 재외국민위원회의 대외비 문건을 단독 입수. 한나라당이 지난 2009년 말부터 미국·중국·일본·유럽·중남미 등에 재외국민위원회와 연계할 해외 자생조직인 녹색성장포럼(Green Growth Forum: GGF)을 결성해왔다고.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사실상 한나라당의 해외 지부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크다고. 민주당도 작년 12월 자생단체 형태의 해외 연계조직인 세계한인민주회의를 출범시켰다고.

이렇게 하는 이유. 내년 4월 총선부터 실시되는 재외국민 투표를 염두고 두고 있기 때문. 자생적 단체 형태의 일종의 편법적인 선거조직을 만들고 있는 것. 이 때문에 해외 교포사회에선 벌써부터 선거전이 끓어오르고 있다고. 문제는 과열 양상. 향우회․동창회가 난립하며 ‘편가르기’를 하면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1면 및 주요기사>

- 조선일보 1면. 일본 ‘방사능 물 방류’ 미국엔 알려줬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 1만여t을 바다에 방류하면서 최근접 국가인 한국에는 사전 통보를 하지 않았지만 미국과는 사전 협의를 했다고 일본 TBS 방송이 5일 보도했다. 이 방송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사전에 미국과 오염수 방류를 협의했으며 미국 측은 “(저농도) 오염수를 처리할 방법이 없다면 저장하는 것보다는 바다로 방류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동의했다. 일본과 미국도 얄밉지만 우리 정부는 무슨 대책을 세우고 있었던 걸까. 정부가 일본 원전 대책과 관련해 손놓고 있었다고 조선일보가 1면에서 질타.

어찌됐든 ‘이런’ 일본 정부가 어처구니없게도 권철현 주일대사를 불러 우리 정부의 독도해양기지 건설 계획을 항의하면서 중지를 요구했다고. 동아일보 1면에서 보도. 이에 권 대사는 “영토주권 행사는 일본 측이 관여할 사항이 아니다”라고 반박.

- 중앙과 동아는 재보선과 관련한 소식을 실었다

중앙은 1면에서 <흔들리는 ‘분당 우파’>를 주목. 그동안 한나라당에 압승을 안겨줬던 성남 분당을 국회의원 보궐선거를 앞두고 흔들리고 있다고. 중앙일보 여론조사 결과 오차범위(±3.1%) 이내에서 박빙의 접전을 벌이고 있다. 집값 하락과 물가고에 따른 불만. 젊은층들이 늘어난 것도 한 원인이 됐다고.

동아일보는 1면에서 강원도지사 후보와 관련해 여론조사를 실시. 엄기영 한나라당 후보가 45.4%, 최문순 민주당 후보가 28.3%의 지지율을 얻고 있다고. 동아일보가 코리아리서치(KRC)에 의뢰해 4일 강원 지역 19세 이상 성인 7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조사를 한 결과. 이번 여론조사의 최대 허용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7%포인트다.

- 한겨레 1면. ‘한상률 수사’ 조기종결 제동

한상률 전 국세청장 관련 의혹 수사를 서둘러 종결하려던 서울중앙지검 지휘부 움직임에 대해 검찰 수뇌부가 제동을 걸었다고. 한상대 서울중앙지검장이 5일 김준규 검찰총장에게 주례보고를 하는 자리에서 “수사를 일찍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김 총장은 “시간을 두고 미진한 대목을 마저 수사하라”고 지시.

- 국민일보 18면. 대기업 쌓아둔 돈 비율이 사상 최고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낸 대기업들이 ‘곳간’에 현금을 가득 쌓아놓고도 투자에는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들의 유보율이 무려 1200%가 넘었다고. 유보율이란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 기업이 영업활동 혹은 자본거래를 통해 벌어들인 자금을 얼마나 쌓아두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유보율이 1200%를 넘었다는 것은 곳간에 쌓아둔 잉여금이 자본금의 12배를 넘는다는 의미다. 유보율이 가장 높은 곳은 태광산업이었고, SK텔레콤, 롯데제과, 남양유업 등이 뒤를 이었다. 문제는 투자나 고용은 ‘냉기류’라고 점.

- 중앙일보 1면. 프랑스 외규장각 도서 70여권 14일 온다

프랑스가 약탈해간 외규장각 도서 296권의 약 4분의 1이 오는 14일 한국에 온다. 정부 관계자는 5일 “외규장각 도서를 네 차례에 나눠 수송하기로 했고, 다음달 말까지 귀환이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목 기사>

- 경향신문 1면. 파업 노동자 ‘DNA 수집’ 논란

파업 등 노동쟁의에 참여했다가 유죄 판결을 받은 노동자의 DNA를 검찰이 채취하고 있다고. 쌍용자동차 파업에 참여했던 노조원을 비롯한 노동자 5명이 최근 검찰로부터 DNA 시료 채취를 위해 출석하라는 요구서를 받았다고. 경남 창원에서 대림자동차의 정리해고에 반대해 공장 점거농성에 참여한 이모 씨도 지난달 말 창원지검으로부터 DNA 채취를 위해 출석하라는 요구서를 받았다.

아동 대상 성범죄 등 흉악범죄를 막기 위해 지난해 이른바 ‘DNA법’이 제정. 이 법을 파업참가 노동자들에게 적용하고 있는 것. 인권침해 논란이 일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는 DNA법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기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