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한번 결혼식에 4억 드는 강남의 어떤 결혼식장

<1면 및 주요기사>

오늘 모든 조간 1면은 똑같다. 빈 라덴이 미 특수부대에 의해 사살됐다는 내용이 사진과 함께 실려 있다. 제목의 포인트는 약간 다르다. <10년 숨바꼭질 끝났다…미군, 빈 라덴 사살>(국민일보) <미, 빈 라덴 사살…바다에 수장>(경향신문) <미 “빈라덴 사살” 테러전 1막 끝냈다>(서울신문) <미, 끝내 응징하다>(조선일보) <9․11 10년 ‘빈 라덴 추격’ 끝내다>(중앙일보) <빈라덴 사살…미, 10년만에 ‘피의 응징’>(동아일보) <빈라덴 사살 … 그래도 ‘테러위험’은 진행형>(한겨레) <‘테러의 상징’ 최후 맞다>(한국일보) 등이다.

그리고 만5세도 내년부터 사실상 의무교육이 실시된다는 내용과 여야가 한EU FTA 4일 처리키로 했다는 소식도 1면 주요기사로 실려 있다.

- 중앙일보 1면. 6년간 흑자 분식 대주주․경영진들 329억 챙겨

부산저축은행 그룹 박연호(61) 회장 등 은행 대주주·경영진 4명과 그 가족이 2005~2010년 6년간 흑자 분식회계를 통해 부산저축은행과 부산2저축은행에서 모두 329억원의 배당금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배당금 640억원의 51.4%에 해당하는 것이다.

대검 중수부는 부산저축은행이 1조6800억원, 부산2저축은행이 8500억원씩 자본 잠식 상태에 빠져 있었음에도 박 회장 등이 2008년과 2009년 장부상 흑자가 난 것처럼 꾸민 뒤 각각 77억여원, 25억8000만원을 배당받았다고 2일 밝혔다. 2010년에는 25억8000만원을 배당받았다. 조사 결과 이들은 연봉과 상여금으로도 지난 6년 동안 모두 191억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마다 1인당 평균 11억9300만원씩 번 것이다.

- 조선일보 12면. “부산저축銀, 은행이 아닌 거대 부동산회사였다”

수사로 드러난 부산저축은행그룹의 비리는 은행 불법 경영의 ‘종합세트’였다. 무엇보다 이들은 서민에게 자금을 지원하는 저축은행 임무는 포기하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고객예금 4조5942억원을 대주주의 부동산 투자사업에 쏟아부었다. 박 회장 등은 대주주에 대한 대출금지 규정을 피하기 위해 국내와 해외에 부동산 관련 사업 등을 하는 120개 회사를 만들어 이곳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특정사업을 담보로 대출해 주는 것) 방식으로 거액을 대출했다. 이들은 불법으로 끌어댄 돈을 아파트, 골프장, 납골당 건설 등 다양한 부동산 개발사업에 투자했으나, 21개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99개 회사는 대부분 사업이 사실상 정지된 상태다.

- 동아일보 14면. 영 윌리엄도 울고갈 ‘VVIP 웨딩’

국내 한 업체가 최근 서울 강남에 대한민국 상위 0.1% ‘귀족’을 위한 예식장을 열었다. 예식장 옆엔 300석 규모의 회원 전용 공연장도 있다. 연회비만 1000만 원. 이달 초 열리는 첫 공연에는 유명성악가 조수미 씨가 무대에 선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 경복아파트 사거리에 위치한 초호화 예식장 ○○은 고대나 중세시대 유럽의 고성을 본떠 만들었다. 보통 행사를 치르는 데 드는 돈은 하객 1인당 8만∼30만 원 선. 업체 관계자는 “1인당 8만 원은 연출비 꽃 부대행사 등이 하나도 들어가지 않은 오직 밥만 먹는 것”이라며 “실제로는 20만∼30만 원대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10%의 부가가치세와 봉사료 10%가 별도로 붙는다. 기타 잡비까지 포함하면 한 번 예식에 보통 4억 원 가까이 들어간다.

- 한겨레 10면. 학교 비정규직 “체불임금 달라” 손배소송 채비

학교에서 조리사·영양사·교무보조 등으로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전국 16개 시·도교육감을 상대로 “일방적으로 임금 인상액을 낮춰 손해를 봤다”며 집단 소송을 내기로 했다. 각 학교 취업규칙에는 학교 비정규직(회계직) 노동자 연봉 기준액이 기능직 공무원 10급 1호봉의 21배수로 명시돼 있다. 올해 공무원 기본급이 변경돼 35% 정도의 임금이 인상돼야 하지만 교육당국은 3월부터 일방적으로 4%만 인상해 지급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

- 경향신문 11면. 천주교 주교회의 “원전정책 반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가 정부의 원자력 발전소 정책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시민들이 제기하는 원자력 발전에 관련된 우려의 목소리에 정부가 귀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정의평화위원회는 세계적으로 과소비 상위권에 있는 우리나라의 전기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이를 위해 사회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는 한편 조금 불편하더라도 소박하고 검소하게 살면서 에너지를 절약하자는 의식개혁 운동을 펴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부의 4대강 사업과 관련해서도 “투기와 난개발이 우려되므로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재천명했다.

<주목기사>

- 조선일보 8면. 한나라 ‘끝장 토론’은 무슨 …

배성규 기자의 ‘기자수첩’을 주목. 2일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의원 연찬회는 4·27 재·보선 패배에 따른 당 쇄신책 마련을 위한 ‘끝장 토론’ 자리였지만 끝내 ‘끝장’을 보지 못했다. 시작할 땐 172명 중 120여명이 참석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슬금슬금 의원들이 빠져나가더니 마지막엔 50여명만 남았다. 날 선 공방은 없었다고. 51명이 토론자로 나선 이날 연찬회에서 유일(?)하게 공방이 오간 문제는 ‘박근혜 역할론’이었다고. ‘끝장 토론’은 점심시간을 빼고 8시간 만에 끝났다. 수도권 의원들은 “회의 내내 자다가 나왔다” “절박감이 없었다”고 했다. 이 기사를 주목한 이유. 한나라당이 아직 4․27 재보선에서 왜 패배했는지 모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