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보도>
- 서울신문 1면. ‘한번의 오판’ 1조2000억 날렸다
정부가 연간 20억원 가량의 육류 수출을 위해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고집하다 600배인 1조 2000억원이 넘는 재정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28일 구제역이 발생한 뒤 지난 15일까지 50일 동안 모두 1조 2436억원의 예산 소요. 여성가족부 예산(4232억원)의 2배를 넘었고, 해양경찰청의 올 한해 예산(1조 534억원)보다도 많다.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면 한해 20억원 규모의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수출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1개월 가량이나 백신 접종을 미뤘다. 하지만 결국 20억원의 육류를 수출하려다 1조원이 넘는 돈을 날린 셈이 됐다. 일선 지자체 공무원과 중앙 부처 공무원의 판단 하나가 국가적인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
<1면 및 주요기사>
한국일보 1면 사진이 눈길. 실내온도 ‘두 얼굴’. 왼쪽에는 어제(17일) 과천정부청사 내 한 공무원이 담요를 무릎에 걸친 채 업무를 보고 있는 사진이 실려 있다. 오른쪽에는 비슷한 시각 서울 반포동 지하상가 온도는 한여름 온도인 30도에 육박하고 있다.
- 한국일보 2면. 구제역 후폭풍 돼지고기값 들썩
구제역 발생 50일을 넘어서면서 육류시장에 후폭풍이 본격화할 조짐이다. 설 대목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도축물량 축소와 이동 제한 등으로 돼지고기 도매가격이 인상.
돼지고기의 경우 1㎏ 도매가가 14일 현재 6,153원을 기록, 구제역 발생 이전인 지난해 11월 26일(3,928원)에 비해 55%나 올랐다. 문제는 도축량 감축과 이동제한까지 감안하면 전체 물량의 30% 이상이 일시에 줄어든 셈이어서 앞으로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점. 구제역 전에 평균 2,000원대 초반(100g당 대형마트 기준)이면 살 수 있던 삼겹살을 4,000원에 사야 할 수도 있다.
- 조선일보 10면. “구제역 번질라… 이번 설엔 내려오지 마라”
구제역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이번 설 한 번만 불효하자"는 움직임이 전국에서 나타나고 있다. 친지·자녀들의 고향 방문을 막아 구제역 확산을 막자는 것.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남아 있는 전남 담양군은 지난 12일 전남도에 공문을 보내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설 귀성을 자제시키는 등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경남 합천군은 17일 설 연휴 친지·자녀들의 고향 방문을 자제토록 하자고 결의했다. 구제역 여파로 장례를 예정대로 못 치르는 사태도 속출하고 있다. 선산 쪽에 구제역이 발생해 출입이 금지됐기 때문이라고.
- 국민일보 8면. 사정 딱한 생계형 범죄 는다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으로 생활필수품을 훔치거나 의식주를 마련하려고 소액의 물품을 절도하는 생계형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독거노인 박모(67)씨는 지난 4일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서울 신림동 한 마트에서 라면과 참치캔 등을 훔치다 관악서에 불구속 입건됐다. 지난 13일 오전 4시50분쯤 지하철 4호선 수유역 6번 출구 앞에서 남루한 옷차림의 60대 노인이 경찰에 붙잡혔다. 배포용 무가지 60부짜리 한 뭉치를 훔친 것. 김씨는 “2년째 간암 투병 중인데 돈이 없어 약값을 마련하려고 훔쳤다”고 경찰에서 진술.
- 서울신문 1면. 경북 군위군 “모든 입학생에 축하금”
경북 군위군이 전국 시·군으로는 처음으로 올해부터 지역의 초·중·고교에 입학하는 모든 학생에게 1인당 최고 100만원의 ‘입학축하금’을 주기로 했다. 중학교 3학년 진학생에게도 50만원의 특별축하금을 지급한다.
왜? 군위군은 이번 장학금이 주민등록의 전입 유도와 전출 방지를 위한 방안인 만큼 타지 학생들도 주민등록만 옮기면 차등 없이 장학금을 지급할 방침. 학생들에게 지급될 축하금 예산은 총 5억 2000여만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주목 기사>
- CBS노컷뉴스 1면. 청소년 7명 중 1명 ‘휴대폰 왕따’
‘휴대폰 왕따’란 휴대전화로 상대에게 욕설을 하거나 욕설 문자를 보내는 행위를 말한다. 고려사이버대 전신현 교수가 2008년 서울시내 중학생 718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명 중 1명이 ‘휴대폰 왕따’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문제는 왜 이러느냐는 것. 단순히 재미와 쾌락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고. 심각한 것은 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나 피해를 목격한 학생들이 가해자가 되는 악순환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
'아침신문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간브리핑] “포털이 수사기관 넘긴 개인정보, 당사자들이 원하면 공개해야” (0) | 2011.01.20 |
---|---|
[조간브리핑] G20 홍보포스터 ‘쥐 그림’ 대학강사 기소될 듯 (0) | 2011.01.19 |
[조간브리핑] 종편은 ‘조중동’ 몰아주고, 내신은 ‘명문대 갈 학생’ 몰아주고 (0) | 2011.01.17 |
[조간브리핑] 민주당 이석현 의원 '로스쿨 부정 입학 폭로' 역풍 (0) | 2011.01.14 |
[조간브리핑] '함바비리'는 영화 '부당거래'의 현실버전 (0) | 201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