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침신문 브리핑

[조간브리핑] 허남식 부산시장 “고리원전 1호기 가동 중단하라”

<1면 및 주요기사>

오늘 조간 1면은 농협이다. ‘농협 사태’가 내부 전문가의 사이버테러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고, 농협과 IBM 직원 3~4명이 출국금지 됐다는 내용 등을 1면 주요기사로 보도. 또 미국의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됐다는 내용도 주요 기사로 실려 있다. 4․19 혁명 51주년 관련 사진도 1면에 많이 싣고 있다.

- 서울신문 1면. “100명 이상 초전문가의 소행”

농협 전산망에 2중, 3중으로 설치된 방어벽이 뚫린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18일 “주센터와 백업센터의 파일이 함께 지워진 점에 주목한다”면서 “이 정도 일은 몇 명이 저지를 수 없다. 100명 이상의 초(超)전문가들의 소행”이라고 말했다. 정부 소식통은 중국을 무대로 한 조직 개입 가능성을 제기했다.

- 조선일보 1면. 전직 해커 “6개월이면 어떤 은행이든 다 뚫는다”

유명 해커 출신으로 인터넷 보안업체에 근무 중인 정모(35)씨를 인터뷰. “마음만 먹으면 6개월이면 은행뿐 아니라 어느 시스템도 뚫을 수 있다. 회사 내부에 공모자가 있으면 한나절에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금융권 전산망을 설계할 때 외부 업체의 보안 인력들이 하도급으로 많이 들어가는 것도 취약점으로 지적된다.

- 경향신문 1면. 봇물 터진 “원전 반대”

은행 전산망 외에 불안한 곳이 또 있다. 허남식 부산시장을 비롯한 부산·울산·경주 등 원전 가동지역의 지자체장과 의회가 고리1호기 가동중단, 월성1호기 수명연장 중지 등 원전 폐쇄를 요구하고 나섰다. 허 부산시장은 18일 고리원전을 방문했고, 부산 남구의회(18일)와 북구의회(13일), 연제구의회(15일)도 고리원전 1호기 폐쇄 결의안을 채택. 울산시의회도 전국 광역의회에서는 처음으로 지난 15일 결의안을 채택.

- 국민 2면. 지방의회 의원들 왜 이러나. 화성서 시 간부 무릎 꿇리고 의자 던져

지방의원들도 불안. 경기도 화성시의회 민주당 A의원은 지난 14일 예산편성 실무를 맡고 있는 화성시 B과장을 시의회 1층 회의실로 불러 무릎을 꿇게 한 뒤 폭언과 함께 의자를 집어던지는 등 20분간 행패를 부렸다. B과장은 손과 팔꿈치에 찰과상을 입었다고 주장. 이에 대해 A의원은 “B과장이 ‘추가경정예산과 관련해 시의원이 요구하면 다 들어줘야 하나. 버릇을 고치겠다’고 했다는 말을 전해 듣고 확인하기 위해 불렀다”면서 “언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의자를 던지거나 폭행은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동아일보 13면. 지자체장이 장관에게 보낸 생선회 노숙인들이 ‘꿀꺽’

지방의 한 광역자치단체장이 현직 장관 앞으로 보낸 생선회를 노숙인들이 가로채 먹은 사건이 벌어졌다.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18일 운송을 기다리던 택배 상자를 훔쳐 안에 든 생선회를 먹은 혐의(절도)로 이모 씨(55) 등 노숙인 4명을 불구속 입건. 택배 상자에는 한 광역단체장이 정부 중앙부처 장관에게 보내는 생선회가 들어 있었다. 발신지는 부산으로, 수신지는 행정안전부로 돼 있었다고.

- 중앙일보 1면. 중국 정부 홈피 200여곳,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

중국 정부가 운영 중인 홈페이지 200여 곳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07년부터 중국 정부에 이 같은 내용을 시정하라고 요구했지만 현재까지 수정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고. 프랑스 외무부 홈페이지도 지난해 5월까지 독도를 ‘Take-shima(다케시마)’로,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했다. 한국 정부가 항의하자 프랑스 외무부는 지도를 삭제했다.

- 조선일보 1면. 국회 사법제도개혁위 소위 대검 중수부 폐지 합의

국회 사법제도개혁특별위원회 산하 법원소위원회는 18일 현행 14명인 대법관 정원을 2013년에 3명, 2014년 3명씩 6명을 새로 증원해 총 20명으로 하기로 했다. 사개특위 산하 검찰소위원회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의 수사기능을 폐지하는 데도 합의했다. 사개특위는 20일 전체회의를 열어 법원·검찰소위가 합의한 법조개혁안에 대해 의결을 시도할 계획. 그러나 법원·검찰에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처리 과정에서 난항이 예상된다.

- 한겨레 14면. 경제활동 안 하는 고학력자 300만 시대

구직활동을 포기하거나 육아, 가사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대학교(전문대 포함) 졸업 이상의 고학력 인구가 300만명에 육박한다고. 대학 졸업자가 크게 증가한 반면, 최근 취업난과 고용률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으면서 이들 고학력자가 아예 직장 구하기를 포기하고 있다는 것. 구조적 실업 문제가 현실로 굳어가고 있는 셈이다.

<주목 기사>

- 한국일보 1면. 기관 따라 제각각 ‘널뛰기 여론조사’

4ㆍ27 재보선을 앞두고 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졌다. 그런데 여론조사 결과는 들쭉날쭉했다. 조사기관에 따라 우세한 후보가 정반대로 나온 경우도 있어 혼란만 가중. 왜 이런 일이? 휴대전화 사용가구가 많지만 여론조사는 기존 집 전화번호를 표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 조사 기법을 개선하고 여론조사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